tibero 16

[Oracle/Tibero]Temp Tablespace 재생성

- 사유: tracelog 에 'TEMP FILE NOT_FOUND ERROR LOG' 가 지속적으로 발생함 - 원인: 기존에 있던 Temp파일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함 - 조치 1. Create Temp Tablespace Create TEMPARARY TABLESPACE TEMP2 TEMPFILE '절대경로' SIZE 1G AUTOEXTEND ON NEXT 16M MAXSIZE 10G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; -- 새로운 TEMP TABLESPACE를 만든다. 2. ASSIGN TEMP2 TABLESPACE TO DEFAULT TEMP TABLESPACE ALTER SYSTEM SET TEMP_TABLESPACE = TEMP2; -- 메인 TEMP TABL.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21

[Oracle/Tibero]UNDO 테이블스페이스 교체

-사유 최초 설계시 UNDO 사이즈를 크게 잡은 후 계속 유지 됨 -처치 신규 UNDO TBS 생성, 교체한 후 기존 것 삭제 1. 신규 UNDOTBS를 생성 CREATE UNDO TABLESPACE UNDOTBS DATAFILE '신규:/언두테이블스페이스/생성경로/UNDOTBS01.DTF' SIZE 5G AUTOEXTEND ON NEXT 100M MAXSIZE UNLIMITED, '신규:/언두테이블스페이스/생성경로/UNDOTBS02.DTF' SIZE 5G AUTOEXTEND ON NEXT 100M MAXSIZE UNLIMITED, '신규:/언두테이블스페이스/생성경로/UNDOTBS03.DTF' SIZE 5G AUTOEXTEND ON NEXT 100M MAXSIZE UNLIMITED EXTENT MANAG.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20

[Oracle/Tibero]DBF 파일 생성경로 잘못 설정한 경우

1. 테이블스페이스에 신규로 추가된 데이터 파일에 데이터가 안쌓였을 경우(테이블스페이스 online상태) 해당 데이터 파일을 삭제한다. Alter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drop datafile ‘데이터:/파일/경로/경로 잘못 설정된 데이터파일명.dbf’ 2. 테이블스페이스에 신규로 추가된 데이터 파일에 데이터가 쌓인 경우(테이블스페이스 online상태) 1) 해당 테이블 스페이스를 오프라인 한다. Alter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offline; 2) 오프라인 후에 해당 데이터 파일을 실제 경로에서 복사해 이동할 드라이브로 붙여넣기 한다. 3) 복사가 완료되면 데이터 파일의 경로를 rename해준다. Alter tablespace rename datafile ‘현재:/데이터/파.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15

[Oracle/Tibero] DB사용자명, 패스워드 대소문자 구분여부

기본적으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-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경우 사용자 생성,수정시 사용자명은 " " 큰따옴표에 사용명을 입력시, 비밀번호는 ' ' 작은따옴표에 비밀번호를 입력시. 대소문자를 구분하게 된다. 대소문자 구분 예시) ex) create User “유저명” identified by 비밀번호; -> 사용자명 대소문자 구분 ex) alter User 유저명 identified by ‘비밀번호’; -> 비밀번호 대소문자 구분 *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가 들어갈 경우 " " 큰따옴표로 묶어줘야 한다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09

[Oracle/Tibero]DB 계정 패스워드 변경 - 패스워드 대소문자 구분여부

-- 계정 패스워드 변경 구문 Alter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바뀔 패스워드; * 계정변경 작업시 해당 계정으로 DB에 접근하는 프로그램(어플리케이션 등)이 있다면 작업진행 전 반드시 종료(계정 LOCK발생) * 패스워드의 대소문자는 구분하지 않으나 작은따옴표('')로 묶어 패스워드 입력시 대소문자 구분함. ex) Alter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'바꿀패스워드'; => 대소문자 구분하게 됨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08

DB 계정별 접속 세션수 제한 방법(SESSIONS_PER_USER)

DB 계정들의 프로파일을 등록, 수정하여 계정별 접속 가능 세션수를 제한할 수 있음. >> 사용자 비밀번호 관련 설정(암호 재사용, 변경주기, 암호조합 등), 접속 시 암호 오류 횟수 등등도 프로파일로 계정별 관리 가능 —계정별 세션 접속 수 확인 Select username, count(*) from v$session group by username; —프로파일 목록확인 Select * from dba_profiles; -> resource_name칼럼의 SESSIONS_PER_USER 값이 접속 세션 제한 항목(없다면 해당 프로파일로는 세션수 제한 불가) >> 해당 항목에 limit값이 접속세션 제한 수 —계정별 적용된 프로파일 확인 Select * from dba_users; -> profile컬럼..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07

Reference does not exist - 외래키작업시

기존 외래키 제거 후 다른 테이블의 컬럼을 외래키 설정 - 기존 외래키 제약제거 -> alter table 자식테이블명 drop constraint FK제약조건명; - 다른 테이블의 외래키 설정 -> alter table 자식테이블명 add constraint FK제약조건명 Foreign key (자식테이블의 컬럼 중 외래키를 참조할 컬럼) References 부모테이블 (부모테이블의 컬럼); :: 참조할수 없을 때 발생

카테고리 없음 2022.12.06